티스토리 뷰
구조 분해 할당이란?
구조 분해 할당은 객체나 배열의 속성을 간단히 분해하여 변수에 담는 문법입니다. 이를 통해 더 깔끔하고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기본 문법
객체에서 구조 분해
const obj = { key1: "value1", key2: "value2" };
// 기존 방법
const key1 = obj.key1;
const key2 = obj.key2;
// 구조 분해 할당
const { key1, key2 } = obj;
console.log(key1); // "value1"
console.log(key2); // "value2"
배열에서 구조 분해
const arr = [1, 2, 3];
// 기존 방법
const first = arr[0];
const second = arr[1];
// 구조 분해 할당
const [first, second] = arr;
console.log(first); // 1
console.log(second); // 2
userId: createdBy의 의미
const { userId: createdBy } = state.auth.user;
이 문법은 객체 속성의 이름을 다른 변수명으로 변경하면서 값을 할당하는 것입니다.
예제
const user = { userId: 42, username: "JohnDoe" };
// 기존 방법
const userId = user.userId; // 변수 이름 유지
// 구조 분해와 이름 변경
const { userId: createdBy } = user;
console.log(createdBy); // 42
여기서:
- userId는 user 객체의 속성 이름입니다.
- createdBy는 우리가 새롭게 정한 변수 이름입니다.
- 결과적으로 userId의 값(42)이 createdBy 변수에 저장됩니다.
'웹 개발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옵셔널 체이닝 연산자(Optional Chaining Operator) (0) | 2025.01.05 |
---|---|
널 병합 연산자(Nullish Coalescing Operator) (0) | 2025.01.05 |